독후감

마오쩌둥의 전기를 읽고 (독후감)

김일중 2021. 8. 30. 21:27

마오쩌둥의 전기를 읽고 (독후감)

2021830

김일중

 

마오쩌둥(毛澤東, 1893-1976)의 전기에는 아래와 같은 글 들이 쓰여 있다. “좌파 성향의 당위원회 서기들이 대약진 운동을 강력하게 추진했던 안후이 성, 허난 성, 쓰완 성의 경우 전 주민의 1/4이 굶어 죽었다. 1960년에 2천만 명 이상이 기아로 굶어죽었다.” (이 책의 제 2274쪽에서 인용). 마오는 중국을 사회주의 국가로 만들기 위해 1958년부터 1960년 사이에 주로 곡식과 철강의 대 증산(大增産) 운동을 전개했는데, 이를 대약진(大躍進) 운동이라고 부른다. 이 잘못 된 마오()의 정책으로 중국에서 한 해에만도 (1960) 2천만 명의 농민이 아사했다.

 

공산당 간부들은 식량을 훔쳤다고 의심되는 주민들을 빨갛게 달군 쇠로 얼굴을 지지거나 강제로 인분을 먹이거나 오줌에 흠뻑 젖게 했다. 때려죽이거나 생매장해 죽이기도 했다. 굶주린 아이가 음식을 훔친 경우에도 똑같이 처벌했다. ‘기아(飢餓)’라는 말은 누구도 입에 담을 수 없었다. 관리들은 그 대신 역병이라는 표현을 썼다.” (2274).

 

중국 역사상 극심한 기아 사태가 일어날 때면 항상 그랬듯이 남편들은 자신의 아내들을 팔았다. 여자들은 자신을 사주면 기뻐했다. 팔려간다는 것은 생존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비적(匪賊)이 나타나고 식인(食人) 행위가 나타났다. 땅에 묻힌 시체를 꺼내먹은 일도 있었다. 부모가 자식을 죽여서 먹는 일도 벌어졌으며 형이나 누나가 동생을 잡어 먹기도 했다.” (2276).

 

대약진 운동으로 인해 중국 전역에서 수천만 명의 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나왔다. 보고서는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에게만 제출되었다. 저우언라이는 이 보고서를 읽은 뒤 보고서 복사본을 전부 폐기하라고 명령했다. 마오와 가장 가까운 동료들마저 마오가 내린 결정에 의문을 제기할 수 없었다. 마오가 허락하기 전에 마오의 정책을 바꿀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대약진 운동은 엄청나게 끔찍한 실패로 끝났다.” (2280).

 

 

저자는 위 글에서 마오와 가장 가까운 동료들마저 그가 내린 결정에 의문을 제기할 수 없었다. 그가 허락하기 전에 그의 정책을 바꿀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 말은 아무도 마오의 정책에 대해서는 비판을 못했다는 뜻이다. 비판자는 즉시 죽임을 당하거나 숙청되거나 교도소에 넣었기 때문이다. 펑더화이(1898-1974)가 그중의 하나다. 그는 대장정, 항일전쟁, 국공내전에 참여했고, 한국전쟁에 인민해방군 총사령관을 맡아 참전했다. 1954년 국방부장에 임명되었는데 대약진운동을 비판했다가 실각하여 중난하이의 거처를 떠나 이후 6년간 베이징 북쪽 외곽 이하위안 내에 있는 건물에서 사실상 가택 연금 상태에서 살았다.” (2266).

 

대약진운동의 핵심은 강철과 곡물 생산에 있었다.” (239). 강철과 곡물의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늘리자는 것이었다. 마오쩌둥은 혁명에 성공한 뒤 곧바로 점진적으로 중국은 의식주가 무상 공급되는 비화폐 경제로 이행될것을 목표로 했다. (2236). 그는 이를 위해 농촌에 인민공사를 세우고 식사, 의복, 주거, 학교, 의료, 장례, 이발, 공연, 관람, 난방, 결혼 비용의 무상 공급을 약속했다.” (1239). “개인 소유 경작지와 가축은 대체로 보상 없이 몰수되었다. 심지어 외국에 거주하는 친척이 보내준 돈까지 공동 자산으로 압수되었다. 각 가정은 취사도구를 내놓아야 했다. 공동식당이 있기 때문에 그런 도구가 필요 없다는 것이었다. 양로원에 노인은 수용됐고, 어린아이들은 숙식이 제공되는 유치원에 수용됐다. 모든 사람들은 집단화·군사 화된 새로운 생활에 적응하라고 강요되었다.” (2238). 이렇게 되자 인민공사에서 물질적 보상이 없으면 일을 하지 않으려는 사람이 나타났다.” (1238). 이 인민공사로 인해 지상천국이 나타난 것이 아니고 지상지옥이 나타났다. 곡물의 생산량이 증가된 것이 아니고 오히려 줄었다. 마오의 사회주의 실험은 이렇게 완전한 실패로 끝났다.

 

저자는 마오쩌둥의 이력을 이렇게 요약한다. “후난 성 출신이며 중국공산당 창당 멤버이다. 노동 운동과 농민 운동을 조직하는 데 힘썼고, 1934년 말부터 대장정을 이끌며 당 지도부를 장악했다. 장제스와의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을 창건했다. 국가주석에 올라 당과 군과 정부 내에서 절대 권력을 행사했다. 1950년대 대약진운동이 실패함에 따라 1959년 국가주석 자리에서 물러났지만, 1966년 문화혁명을 주도하여 다시 전면에 나섰다. 1976년 죽음과 함께 권좌에서 내려왔다.” (2660). 그는 26년 간 중국을 통치했다.

 

위 요약에서 저자는 마오쩌둥이 대장정(大長征)을 이끌며 당 지도부를 장악했다고 기술하는데, 그는 193410월 대장정이 시작되기 전 “2년 동안 군사 정책 결정 과정에서 완전히 배제되었다.(1398). 그는 마오에게 대단히 적대적인 당 중앙의 지휘부에 의해 쫓겨났다,” (1499). 마오는 중국 공산당의 지휘부의 지시나 명령에 항상 반항적이었고, 스탈린의 지시나 명령에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투쟁적인 혁명가였다.

 

마오쩌둥은 공산 당원이 된 후로 12년 동안 여섯 번이나 뒤로 물러났다. 첫 번째는 스스로 원해서 옆으로 비켜났다. 1924년 공산주의 운동 자체에 회의를 느껴 운둔한 시기였다. 두 번째는 1927년 가을 추수 봉기가 실패로 끝난 뒤였다. 세 번째는 정강산 시절이었다. 당시 새로 구성된 후난 성 당 위원회가 마오를 특별위원회 서기직책에서 해임했다. 네 번째는 1929년 유격 전술을 둘러싸고 주더와 논쟁했을 때였고, 다섯 번 째는 19321월 등화 산으로 들어갔을 때였다. 그리고 1년 만에 닝두회의에서 여섯 번째 굴욕을 당했다. 하지만 이전 다섯 번째의 경우는 마오를 구해줄 당내 권력을 가진 동료가 있거나 그가 일부러 이보 전진을 위해 일보 후퇴를 작정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번 여섯 번째는 마오에게 대단히 적대적인 소련유학파에 점령된 중앙 지도부에 의해 내쳐진 것이다.” (1499).

 

1934년 장제스 군대가 중국공산당의 숨통을 끊으려고 하자 공산당은 이해 10월에 완전한 패배를 피하기 위해 중국의 남부 위드에서 내몽골에 가까운 산시 성 북부까지 10,000km를 도망가기로 했다. “이러한 홍군(紅軍)의 행군을 대장정이라고 불리었다.” (117). 이 퇴각 행군을 이끌 때, 마오쩌둥은 항상 극단적으로 의견을 표명했고 특이한 목표 의식과 강한 신념과 무한한 자신감과 몹시 예리한 직관력으로탁월한 지도력을 보였다. (1490).

 

당초 중국공산당이 도망갈 때는 최종 목적지도 정하지 못했다. 이 때 마오가 지도력을 발휘해 86,000명의 군대가 가야할 목적지 등을 정했고 그 곳으로 대원들을 인도했다. “1년 동안 홍군은 위두를 출발하여 10,000km를 행군했고 200회가 넘는 전투를 치렀으며, 전 세계에서 가장 험난한 땅을 돌파해왔다. 병사들은 대부분 글을 모르는 농민이었지만 다른 어떤 근대적 군대도 살아남기 어려운 엄청난 고난을 이겨냈다.” (1557). 1935초여름에 홍군이 진사 강을 건너 쓰완 성으로 진입할 즈음 마오는 누구의 도전도 받지 않고 죄고 지도자 사리에 우뚝 섰다.” (134). “마오가 공식적으로 당 주석 자리에 오르게 된 것은 이때부터 8년 뒤의 일이다.” (134), 마오는 대장정 중에 권력투쟁에서 완전 승리했다.

 

전통적 군사학에 의하면 한 부대의 병력의 4분의 1을 잃으면 전투부대로서의 기능이 끝난다고 본다. 초원 지대를 벗어났을 무렵 홍군은 당초 병력의 90%를 손실한 상태였다. 그리고 엄청난 희생을 치른 고난의 행군이 드디어 끝을 보이고 있었다.” (1557). 홍군이 산시 성에 들어갔다. 이 삭막한 황야 지대에서 마오는 12년을 보낸다. 1935122일은 마오가 위두를 출발한 지 1년하고도 나흘이 지난 뒤였다. 마오와 함께 대장정에 나선 사람들 가운데 살아남은 사람은 5,000명이 채 안되었다.” (1560).

 

저자는 마오를 이렇게 칭찬한다. “마오가 살아 있는 동안 반식민지에서 강대국으로 도약했으며, 수천 년 간 지속된 경제 자립국가에서 사회주의 국가로 변모했다. 또 제국주의 침탈이 피해자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 되었으며 수소탄과 첩보위성, 대륙 간 탄도 미사일을 갖추게 되었다.”(2504). 마오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세우기 위해 많은 사람을 죽였다. 국가를 세우고서도 많은 사람을 죽게 했다. 그 수는 헤아릴 수가 없다. “기근의 모든 희생자를 합하면 이보다 많은 희생자를 낸 역사적 재난은 제2차 대전 밖에 없다.” (2506).

 

저자는 마오를 한마디로 중국을 지옥으로 만들고 죽었다고 평한다. “마오는 중국을 유교가 지배하는 과거로부터 해방시켰다. 하지만 그가 약속했던 붉은 미래는 아무것도 잉태되지 않은 연옥으로 밝혀졌다.” (2508).

 

내가 읽은 책은 영어 제목이 Mao, the man who made China이다. 필립 쇼트가 지었고, 출판사 교양인이 2019125일에 간행한 책이다. 양현주가 번역했다. 1권은 670쪽으로 되어있고, 2권은 681쪽으로 구성돼 있다. 이 책은 마오의 전기이다. 마오의 일생의 사적(事跡)을 적은 기록이다. 마오 개인에 관한 모든 것이 망라되어 있고 중국의 근대사가 정리되어 있다.

 

나는 이 책을 읽고 절대 권력을 가진 공산주의 혁명가는 정말 무서운 사람들이란 것을 다시 한 번 알게 되었다. 마오의 대약진 운동이 그렇게 끔찍한 재앙과 재난을 가져온 이유 중의 하나가 아무도 그 것을 공개적으로 비판할 수 없었다는 것을 알고 언론자유의 소중함을 알게 되었다. “1990년 대 이래로 혹은 그 이전부터 중국공산당은 단지 명칭에서만 공산주의를 내세우고 있을 뿐이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2527).

 

마오쩌둥 같은 독재자가 다시는 이 세상에 태어나지 않기를 나는 바란다. 그의 태어남은 중국인들에게 큰 재앙이었고 인류에게도 큰 재앙이었다. ()